반응형
인증서 파일 내부 확인 방법
SSL을 사용하지 않고 인증서 내부를 바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cat cert.crt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인증서 관련 정보들을 알 수가 없다.
OPENSSL 커맨드로 유효기간 확인하기
$openssl x509 -in <해당 파일> -text -noout
Validity 관련 부분을 참고하면 유효기간 확인이 가능하다.
HTTPS 통신을 위한 자체 인증 SSL 인증서 만들기
전반적인 과정OpenSSL 다운로드Private Key 생성인증서 요청(CSR) 파일 생성(private.csr)자체 서명하기 위해서 rootCA 생성자체 서명한 인증서 생성(private.crt)pem 확장자로 변환NGINX config 파일에서 해당 파일
jettstream.tistory.com
OPENSSL 설치 관련으로는 위의 글을 참고하자.
인증서 확장자를 .crt로 변경해서 유효기간 확인하기
이미 .crt로 되어있다면 상관없지만 만약 .pem 확장자로 되어있다면 잠시 확장자를 .crt로 변경해 주자.
변경 후 더블클릭하면 해당 인증서에 대한 유효기간 확인이 가능하다.
참조 사이트
Windows 윈도우 10 에 OpenSSL 을 설치하는 방법
OpenSSL은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및 SSL (Secure Sockets Layer) 프로토콜을 위한 모든 기능을 갖춘 툴킷 입니다. Apache 스타일 라이센스에 따라 라이센스가 부여됩니다. 이 튜토리얼은 Windows 운영 체제
aspdotnet.tistory.com
'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이란 무엇인가? (0) | 2024.10.07 |
---|---|
인증서 생성 시 알게 된 x509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4.09.23 |
SSL 인증서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4.09.10 |
[::] 해당 IP 표기는 뭘까? IPv6 주소 표기법에 대해서 (1) | 2024.09.05 |
HTTPS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1) | 2024.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