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눅스34

Bash 프로그래밍 - if 문 형식 및 예제 if 문의 형식Bash에서 if문의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다.if 조건then 명령fi">if 조건then 명령fiif 문의 조건 부분이 참(True)인 경우에만 then 이후 명령 부분을 실행한다. 조건이 참이 아닌 경우(거짓인 경우)에는 명령을 실행하지 않는다. 명령 앞에 들여 쓰기가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런 들여쓰기를 보통 인덴테이션(indentation), 흔히 줄여서 인덴트라고 한다. 파이썬에서는 인덴트가 코드 블록을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Bash에서 인덴트는 아무 의미가 없다. 단지 사람이 스크립트를 읽기 쉽게 도와줄 뿐이다. 일반적으로 인덴트는 공백 4개나 탭 1개로 한 단계를 표현한다. 명령을 작성한 후에 if 문을 끝내려면 반드시 fi로 닫아줘야 한다. fi는 if.. 2025. 3. 18.
Bash 프로그래밍 - 조건문과 테스트 연산자 Bash에서 변수 선언하기변수(variable)란 데이터를 담는 그릇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변수에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명령하면 해당 변수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는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변수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보통 값이라고 한다. Bash에서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등호(=)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변수의 이름을 적고, 오른쪽에는 저장할 값을 적는다. 등호의 좌우에는 공백이 없어야 한다.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한다고 한다.변수_이름=값">변수_이름=값NEW_VARIABLE이라는 변수에 hello라는 문자를 저장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값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감싸도 되고, 감싸지 않아도 된다. 큰따옴표로 감싸는 것이 일반적이다.. 2025. 3. 16.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read read 명령어read는 Bash의 내장 명령어(build-in command)로, 표준 입력에서 한 줄을 읽어 변수에 저장하는 데 사용한다. read는 스크립트에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처리할 때 자주 사용한다. 또한, 파일에서 내용을 읽어 처리할 때도 사용한다. read는 입력된 데이터를 공백으로 구분해 여러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read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read [option] [variable]">read [option] [variable]📌 read 명령어의 주요 옵션-p : 입력 시 보이는 프롬프트 메시지를 지정-t [second] : 입력 제한 시간(초 단위)을 설정-s : 사용자 입력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 (예시 : 비밀번호 입력 시)-r : 백슬래시를 이스케이프 문자로 해.. 2025. 3. 4.
리눅스(Linux) 패키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패키지 관리 시스템(PMS, Package Management System)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패키지 관리 시스템(PMS, Package Management System)은 패키지의 설치, 업데이트 구성, 제거를 자동화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패키지와 패키지 관리 시스템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관리하는 대상인 '패키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패키지(package)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관련 파일들을 포함한 묶음을 의미한다. 패키지는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구성,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정보는 담고 있다. 패키지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실행 파일 :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파일라이브러리 파일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문.. 2025. 2. 17.
리눅스에서 압축을 해보자! 필수 커맨드라인 tar 명령어 tar 명령어tar(Tape Archive) 명령어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아카이브하고 압축하는 데 사용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tar는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를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묶거나 아카이브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한다. 다양한 압축 옵션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백업할 때 매우 유용하다. 특히 소스코드를 .tar.gz 등 압축 파일 형태로 공개하는 경우가 많아 반드시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아카이브(Archive)는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르 한 덩어리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압축이 아니라 단순히 파일을 붙였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에 gzip, uzip2, xz와 같은 압축을 적용하면 흔히 말하는 압축 파일이 된다.tar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tar [optio.. 2025. 2. 14.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u du 명령어du(Disk Usage)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차지하는 디스크 사용량을 추정해 화면에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u는 파일 시스템을 탐색해 각 파일 및 디렉터리의 공간 사용량을 출력한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식별하는데 유용하다. du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du [option] [file]">du [option] [file]📌 du 명령어의 주요 옵션-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s : 지정한 디렉터리의 총사용량만 표시한다.-a : 디렉터리 내에 모든 파일의 사용량을 표시한다.--max-depth=[level] : 지정한 깊이(레벨)까지 디렉터리 사용량을 표시한다.-c : 각 디렉터리의 사용량과 함께 총합계를 표.. 2025.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