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눅스28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f df 명령어df(Disk Free)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f는 각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사용 중인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사용률을 표시한다.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공간이 부족한 파일 시스템을 식별할 때 유용하다. df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df [option] [file]📌df 명령어의 주요 옵션-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0 블록의 파일 시스템도 포함한다.-T :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표시한다.-i : 아이노드 정보(사용 가능한 아이노드 수와 사용률)를 표시한다.--total : 총합계를 표시한다.파일 부분을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파일 시스.. 2025. 2. 13.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wc wc 명령어wc(Word Count)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의 줄 수, 단어 수, 바이트 수 등을 계산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분석할 때나 파일의 크기를 빠르게 파악할 때 유용하다. 스크립트나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의 양을 측정하는데도 자주 사용된다. wc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wc [option] [file]wc도 grep과 마찬가지로 파일을 입력하지 않으면 표준 입력에서 데이터를 읽어 동작한다. 다음 두 명령은 결과가 동일하다.wc filenamecat filename | wcwc 명령어의 주요 옵션-l : 줄 수를 출력-w : 단어 수를 출력-c : 바이트 수를 출력-m : 문자 수를 출력-L : 가장 긴 줄의 길이를 출력텍스트 정보 출력하기wc를 옵션 없이 사용하면 줄 수, 단.. 2025. 2. 13.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stat stat 명령어stat 명령어는 파일이나 파일 시스템의 상세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파일 크기, 디스크 사용량, 권한, 최근 접근 및 수정 날짜, 아이노드 번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가 파일 속성을 파악하기 쉽다. stat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stat [option] [file]stat 명령어의 주요 옵션-f : 파일이 아닌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한다.-c [user_define_format] : 출력 형식을 사용자 정의 형식으로 지정한다.%n : 파일 이름%s : 파일 크기%a : 파일 권한(8진수 표시)%A : 파일 권한(rwxrwxrwx 형태)%h : 하드링크 개수%i : 아이노드 멤버%U : 소.. 2025. 2. 12.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find find 명령어find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검색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grep이 파일의 내용을 검색하는 반면, find는 파일이나 디렉터리 자체를 검색한다. 다양한 기준과 조건으로 파일 시스템을 탐색할 수 있고, 검색한 파일에 대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ind는 파일 이름, 파일 유형, 파일 크기, 수정 시간, 권한 등 다양한 속성으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어떤 파일을 찾는 일은 자주 발생하므로 옵션과 사용법을 익히면 좋다. find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find [option] [path] [expression]find 명령어의 주요 옵션-L : 심볼릭 링크의 대상 파일을 쫓는다. 즉, 파일을 다루거나 정보를 출력할 때 심볼릭 링크의 대상 파일에 대해 작업.. 2025. 2. 11.
리눅스(Linux) &>와 2>&1 차이점에 대해서 &> 와 2>&1의 차이점Bash에서 &>와 2>&1은 둘 다 표준 출력(stdout)과 표준 에러(stderr)를 같은 위치로 리디렉션 하는 기능을 한다.하지만 표현 방식과 동작 방식에서 미묘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사용법command &> output표준 출력(stdout)과 표준 에러(stderr)를 동시에 output 파일로 쓴다.간단한 문법으로 표준 출력과 표준 에러를 하나의 파일에 리디렉션(Redirection)Bash 4.0 이상에서 지원하는 문법&> 실제 사용 예제ls /nonexist &> resultcat resultping -c 5 www.google.com &> outputcat output2>&1 사용법command > output 2>&1> 표준 출력(stdout)을 outpu.. 2025. 2. 10.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grep grep 명령어grep은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의 약자로, 표준 입력이나 텍스트 파일에서 특정 패턴이나 문자열을 검색하는 강력한 커맨드라인 툴이다. grep은 텍스트 처리와 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을 사용해 복잡한 검색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파일 내부의 특정 문자열을 찾거나 다른 명령어의 출력에서 특정 줄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grep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grep [option] pattern [file]파일 부분을 입력하지 않으면 표준 입력으로 받은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래서 파이프라인과 결합해 자주 사용한다. 다음은 cat 명령어의 출력결과를 grep으로 검색하는 형식이다.cat.. 2025.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