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19

일차 함수와 일차 방정식에 대해서 일차 함수와 일차 방정식일차 함수와 일차 방정식은 둘 다 선형(Linear) 개념을 다루지만, 서로 다른 수학적 객체를 나타나머, 그 목적과 사용되는 방식이 다르다. 일차 함수(Linear Function)일차 함수는 y를 x의 함수로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된다. y = mx + by는 종속 변수x는 독립 변수m은 기울기b는 y-절편(함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 이 함수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2이고 y절편이 3인 직선이다. 일차 방정식(Linear Equation)일차 방정식은 하나 이상의 변수를 포함하는 일차식(선형식)을 통해 주어진 방정식이다. 일반적인 일차 방정식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ax + b = 0 x는 변수a와 b는 상수a는 0이 아니다.일차 방정식은 하나의 .. 2024. 5. 30.
C# 세제곱근 계산하기 세제곱근 계산하기수학 관련으로 공부하다보니 제곱근 다음으로 세제곱근도 구해야 하는 순간이 왔다.C#에서 세제곱근은 Math.Cbrt() 함수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예제using System;public partial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16의 세제곱근 + 54의 세제곱근 = 250의 세제곱근"); Console.WriteLine($"{Math.Cbrt(16)} + {Math.Cbrt(54)} = {Math.Cbrt(16) + Math.Cbrt(54)}"); Console.WriteLine($"250의 세제곱근: {Math.Cbrt(250)}.. 2024. 5. 29.
대수식(Algebraic Expression) 정리 대수식(Algebraic Expression)이란?대수식은 숫자, 변수, 연산자(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및 괄호 등을 조합하여 만든 수학적인 표현이다. 대수식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들을 알아야 한다. 대수식의 구성 요소변수(Variable)변수는 특정한 값을 가지는 문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x, y, z와 같은 알파벳을 사용한다.변수는 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라고 부른다. 상수(Constant)상수는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을 가지는 숫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3, -5, 8, 12 등은 상수이다.  계수(Coefficient)계수는 변수 앞에 곱해지는 숫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4x에서 4는 x의 계수이다. 차수(Degree)대수식의 차수는 변수.. 2024. 5. 29.
최대공약수로 최소공배수 구하기 최소공배수를 구해보자우선 최대공약수를 구해야 한다.A, B에 대한 최대공약수는 A, B를 공약수로 나누면 얻을 수 있다. A를 4, B를 12라고 가정하고 최대공약수를 구해보자. 2 ) 4 122 ) 2  6 ------------     1   3 이렇게 공통의 약수로 나눠서 더 이상 나눠지지 않을 때까지 나눠주면 된다.이때 나눈 공약수를 모두 곱하면 이게 바로 최대공약수이다. 2 * 2 = 4최대공약수는 4 그리고 더 이상 나눠지지 않는 나머지 수들까지 모두 곱하면 최소공배수를 구할 수 있다.4 * 1 * 3 = 12최소공배수는 12 최대 공약수는 G로 표시하고 최소 공배수는 보통 L로 표현한다.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osr)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 2024. 5. 28.
0 제곱일 때 1임을 증명해보자 증명 a0 = 1지수 법칙을 이용해서 a0 = 1 임을 증명할 수 있다. 지수 법칙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am * an = am+n 여기서 a는 0이 아닌 임의의 수, m과 n은 정수이다. 이 법칙을 사용하여 a0이 1임을 증명해 보자. 1. m = 0으로 놓고 n = n으로 놓아보겠다. 그러면 지수 법칙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a0 * an = a0 + n = ana0 * an = an 2. 양변을 an으로 나눠주면 3. 좌변은 a0가 되고, 우변은 1이 된다. 즉, a0 = 1 따라서, a는 0이 아닌 임의의 수이므로, 특히 a = 2일 때도 성립한다. 20 = 1 이로써 0 제곱이면 1 임을 증명했다. 2024. 5. 27.
거리 - 속력 - 시간 관계에 대해서 거리 - 속력 - 시간에 대해서중학교때 외웠던 공식이 있었는데 어느 순간 기억을 못하게 되었다. 그건 바로 거리, 속력, 시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해서 각각의 값을 구하는 공식이다.  그 시절에는 공부하기 싫고 외우기 싫어서 억지로 하고 넘어갔는데 돌고돌아서 다시 공부하고 있다.(역시 그때 설렁설렁하길 잘했다.) 거리(distance)속력(speed)시간(time)거리 = 속력 x 시간속력 = 거리 / 시간시간 = 거리 / 시간예시참고 사이트 How to calculate speed, distance and time - BBC BitesizeWhat is speed? Definition. Units of speed. Calculate one of distance, speed or time given the .. 2024.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