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드웨어/컴퓨터 구조13

생각 날 때마다 찾아보는 컴퓨터의 작동 원리와 프로세스 컴퓨터의 작동 원리컴퓨터는 여러 구송 요소가 유기적으로 동작하며 우리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관점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있고, 각 구성 요소가 어떻게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자.CPU :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해 산순 연산, 논리 연산 등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터의 두뇌이다. 여러 CPU로 된 하나의 칩을 프로세서(processor)라고 하며, 프로세서에 장착된 CPU를 코어(core)라고 한다. 그리고 코어가 여러 개면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라고 한다.레지스터 : 레지스터(register)는 CPU 내부에 포함된 아주 작고 빠른 메모리를 말한다. 레지.. 2025. 1. 30.
컴퓨터 핵심 부품에 대해서 컴퓨터 핵심 부품주기억장치에는 크게 RAM(Random Access Memory)와 ROM(Read Only Memory), 두 가지가 있다.메모리라는 용어를 보통 RAM을 지칭한다.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기억장치인 RAM에 대해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주기억장치는 RAM을 이야기한다. 메인보드 안에 시스템 버스(양방향 수직 화살표)가 있다.CPU 내부에는 ALU(산술논리장치), 제어장치와 여러 가지 레지스터들이 존재한다.메모리는 메인보드 내 시스템 버스와 연결되어 있다.보조기억장치는 메인보드 내 시스템 버스와 연결되어 있다.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은 메인보드 내 시스템 버스와 연결되어 있다. 메모리(Memory), 주기억장치(Primary Memory)컴.. 2024. 8. 12.
컴파일(Compile)이란? 컴파일이란?컴파일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고수준 언어 : C, C++, Java 등)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저수준 언어 : 기계어)로 번역(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소스 코드는 컴파일을 통해서 기계어로 이루어진 실행 파일이 된다.(exe 파일) 이 파일을 실행하면 실행 파일이 운영체제의 Loader를 통해서 메모리에 적재(Load)되어 프로그램이 동작한다. 전처리기(Preprocessor) : #로 시작하는 부분(#include, #define)을 소스코드로 변경해 준다. #include 같은 경우 해당 헤더파일에서 코드를 복붙 해주고, #define의 경우 정의한 값, 또는 식으로 치환해 준다. 예를 들어 C++에서 라이브러리를 include 시키고, 코드에 .. 2024. 8. 1.
바이트 크기에 대해서 바이트 크기 데이터의 최소 단위 - 1bit 8bit - 1byte 1000byte - 1kB(kilobyte, 킬로바이트) 1000kB - 1MB(megabyte, 메가바이트) 1000MB - 1GB(gigabyte, 기가바이트) ... 이런식으로 쭉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정확한 수치는 모르더라도 대략적인 크기를 판단할 정도는 숙지하고 있어야한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코딩 테스트 및 알고리즘 문제해결 공부 방법 (고려대학교 KUCC, 2022년 4월) 코딩 테스트 및 알고리즘 문제해결 공부 방법 (고려대학교 KUCC, 2022년 4월) - Download as a PDF or view online for free www.slideshare.net 출처 바이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2023. 12. 14.
논리 회로(Logic Gate)에 대해 알아보자 논리 회로(Logic Gate)란 무엇인가? 논리 회로(Logic gate)는 부울 대수를 물리적 장치에 구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논리적 입력값에 대해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하나의 논리적 출력값을 얻는 전자회로를 말한다. NOT 논리 게이트 부정(Negation, NOT)이라고도 불리며 수리 논리학에서 주어진 명제의 참과 거짓을 반전하는 논리 연산이다. NOT 게이트 진리표 X Z 0 1 1 0 AND 논리 게이트 논리곱(Conjunction, AND)이라고도 불리며, 수리 논리학에서 주어진 복수 명제 모두가 참인지를 나타내는 논리 연산이다. AND 게이트 진리표 X Y Z 0 0 0 1 0 0 0 1 0 1 1 1 OR 논리 게이트 논리합(Disjunction, OR)이라고도 불리며, 수리 논리학에.. 2023. 10. 11.
보수(Complement)에 대해서 알아보자 부호 있는 수를 표현하는 방법 컴퓨터에서는 숫자를 표현할 때 양수와 음수를 어떻게 표현할까? 컴퓨터는 0과 1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 또한 0과 1로 표현한다. 즉, 부호를 나타내는 비트를 지정하여, 이 비트가 0이냐 1이냐에 따라서, 부호를 지정한다. 부호를 나타내는 비트는 2진수로 이루어진 여러 비트 중 가장 맨 앞의 비트이며, 이것을 부호비트(Most Significant Bit : MSB)라고 지칭한다. 위의 말이 사실이라면 8비트 머신에서 -5를 표현한다면 아래와 같이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 이 값이 정말 -5인지 확인해 보기 위해서 2진수로 표현한 5(00000101(2))와 더해보자. 만약 진짜 위의 수가 -5라면, 5와 더했을 시 0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계산결과는 0이.. 2023.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