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커맨드라인3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u du 명령어du(Disk Usage)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차지하는 디스크 사용량을 추정해 화면에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u는 파일 시스템을 탐색해 각 파일 및 디렉터리의 공간 사용량을 출력한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식별하는데 유용하다. du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du [option] [file]">du [option] [file]📌 du 명령어의 주요 옵션-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s : 지정한 디렉터리의 총사용량만 표시한다.-a : 디렉터리 내에 모든 파일의 사용량을 표시한다.--max-depth=[level] : 지정한 깊이(레벨)까지 디렉터리 사용량을 표시한다.-c : 각 디렉터리의 사용량과 함께 총합계를 표.. 2025. 2. 14.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stat stat 명령어stat 명령어는 파일이나 파일 시스템의 상세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파일 크기, 디스크 사용량, 권한, 최근 접근 및 수정 날짜, 아이노드 번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가 파일 속성을 파악하기 쉽다. stat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stat [option] [file]stat 명령어의 주요 옵션-f : 파일이 아닌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한다.-c [user_define_format] : 출력 형식을 사용자 정의 형식으로 지정한다.%n : 파일 이름%s : 파일 크기%a : 파일 권한(8진수 표시)%A : 파일 권한(rwxrwxrwx 형태)%h : 하드링크 개수%i : 아이노드 멤버%U : 소.. 2025. 2. 12.
C# 커맨드 라인(CommandLine) 파싱 라이브러리 소개 커맨드 라인 라이브러리 소개 보통 툴이나 프로그램을 만들면 유아이가 별도로 없다면 입력인자로 받아서 여러 처리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때 있으면 유용한 라이브러리가 커맨드라인 파싱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번에 제가 알게된 라이브러리는 Mono.Options라는 이름의 라이브러리입니다. 라이브러리 링크로 이동 작고 가볍고 생각보다 기능이 많은거같아서 잠깐 써보았는데 벌써 마음에 들었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Net 플렛폼에서 호환 가능 Full .NET Framework 4.0+ (Client Profile) .NET Core 1.0 .NET Standard 1.6+ Portable Class Libraries (Profile 259) 설치 방법 비주얼 스튜디오 누겟(Nuget)으로 설치 혹은 PM> Instal.. 2023.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