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f 명령어
df(Disk Free)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f는 각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사용 중인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사용률을 표시한다.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공간이 부족한 파일 시스템을 식별할 때 유용하다.
df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df [option] [file]
📌df 명령어의 주요 옵션
- -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
- -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0 블록의 파일 시스템도 포함한다.
- -T :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표시한다.
- -i : 아이노드 정보(사용 가능한 아이노드 수와 사용률)를 표시한다.
- --total : 총합계를 표시한다.
파일 부분을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의 정보만 출력한다.
파일 시스템 정보 출력하기
df는 아무 옵션 없이 실행하면 전체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보여준다. HDD, SSD 등 디스크는 실제로 /dev/sda, /dev/hda 등으로 표시된다. 가상 머신은 /dev/vda. /dev/vdb 등으로 표시된다.
df
파일 이름을 넣으면 파일 이름이 포함된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출력한다.
df /etc/passwd
-h 옵션을 추가하면 파일 시스템이 사용 중인 공간과 사용 가능한 공간이 M(MB), G(GB) 등의 단위로 축약되어서 표시된다. 여기에 -T 옵션을 더하면 파일 시스템의 종류도 출력된다.
df -hT
여기에 -i 옵션을 추가하면 사용 중인 아이노드와 사용 가능한 아이노드 정보를 보여준다.
df -ihT
'프로그래밍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압축을 해보자! 필수 커맨드라인 tar 명령어 (0) | 2025.02.14 |
---|---|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u (0) | 2025.02.14 |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wc (0) | 2025.02.13 |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stat (0) | 2025.02.12 |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find (0) | 2025.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