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u 명령어
du(Disk Usage)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차지하는 디스크 사용량을 추정해 화면에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u는 파일 시스템을 탐색해 각 파일 및 디렉터리의 공간 사용량을 출력한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식별하는데 유용하다.
du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du [option] [file]
📌 du 명령어의 주요 옵션
- -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
- -s : 지정한 디렉터리의 총사용량만 표시한다.
- -a : 디렉터리 내에 모든 파일의 사용량을 표시한다.
- --max-depth=[level] : 지정한 깊이(레벨)까지 디렉터리 사용량을 표시한다.
- -c : 각 디렉터리의 사용량과 함께 총합계를 표시한다.
디렉터리 사용량 출력하기
du는 아무런 옵션 없이 실행하면 디렉터리별 사용량을 화면에 출력한다. 출력하는 수는 각 디렉터리가 차지하는 블록(block)의 개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 블록의 크기는 1024바이트이다.
du
-h 옵션을 추가하면 사람이 읽기 편한 단위로 축약해서 보여준다.
du -h
디렉터리가 너무 많거나 깊이가 깊으면 du로 출력하는 양이 많아 한눈에 보기가 어렵다. 이럴 때는 --max-depth 옵션으로 디렉터리 깊이를 제어하면 좋다. 깊이가 1인 디렉터리만 출력해 보자. 깊이가 1보다 큰 디렉터리는 출력되지 않지만 파일 크기에는 포함된다.
du -h --max-depth=1
-s 옵션을 추가하면 모든 디렉터리를 생략하고 현재 디렉터리만 출력한다.
du -sh
'프로그래밍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패키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0) | 2025.02.17 |
---|---|
리눅스에서 압축을 해보자! 필수 커맨드라인 tar 명령어 (0) | 2025.02.14 |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f (0) | 2025.02.13 |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wc (0) | 2025.02.13 |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stat (0) | 2025.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