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운영체제12 AD(Active Directory)란 무엇인가? AD(Active Directory)란 무엇인가?Active Directory는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며, 조직 내 직원들의 계정 정보(Id, Password)와 컴퓨터 정보, 그리고 조직에서 강제하고자 하는 정책들(예를 들어 패스워드를 최소 8자 이상으로, 30일마다 변경한다든지 , 컴퓨터를 5분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화면 보호기가 실행된다. 등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AD를 사용하면 관리자는 중앙에서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D의 주요 특징중앙 집중식 관리인증 및 권한 부여확장성보안성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면 대부분 MSSQL이나 MySQL과 같은 것을 생각할텐데, Active Directory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와는 조금 다른 타입의 데이터베이스이고, 암호.. 2024. 12. 30. 윈도우11(Windows 11) 설치 이후 디스크 용량이 부족해진 당신을 위한 안내서 윈도우11 설치 이후에 PC가 느려진 거 같다면윈도우11을 설치한 이후에 갑자기 PC가 느려지고 이상해 진 거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면 이는 단순히 느낌이 아닐 수 있다. 윈도우11의 설치에는 대략 30기가 정도의 디스크 용량이 필요하다. 그리고 설치 이후 디스크의 용량이 부족하면 가상 메모리를 스왑(SWAP) 하지 못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부족해져서 직접적으로 성능에 영향을 받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전 버전의 윈도우를 제거하여 디스크 용량을 확보해 보자.이전 버전의 윈도우(Windows)를 삭제해서 공간 확보 이전 버전의 Windows 삭제 - Microsoft 지원구독 혜택을 살펴보고, 교육 과정을 찾아보고, 디바이스를 보호하는 방법 등을 알아봅니다. 커뮤니티를 통해 .. 2024. 12. 19. 서비스(Service) vs 데몬(Daemon) 서비스(Service) 부팅 때 자동으로 실행되며 계속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메모리에 상주해 있다가 사용자 요청이 오면 응답하는 프로세스 서비스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현재 시스템에서 동작 중인 프로세스이므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 데몬 데몬(Daemon)과 서비스(Service)는 둘 다 "부팅 시에 자동으로 켜지고 계속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유닉스/리눅스 계열에서는 데몬으로, 윈도우에서는 서비스라고 했었지만 요즘은 같은 의미로 사용 서비스(Service) 서비스(Service)란 단어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주로 사용됐던 단어 "윈도우 OS와 함께 시작되어 계속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란 의미로 데몬과 거의 비슷 "데몬"과 .. 2024. 3. 25. 시스템 콜,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이란? 시스템 콜,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이란? 운영체제는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한다. 반면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하드웨어와 통신할 수 있다.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시스템 콜(System Call)'이라고 한다. 시스템 콜은 이러한 커널 영역의 기능을 사용자 모드가 사용 가능하게 한다. 즉, 프로세스가 하드웨어에 직접 접근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응용프로그램은 시스템 콜을 사용해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보통 직접적으로 시스템 콜을 사용하기보다는 API(라이브러리 함수)를 통해 제어한다. 위의 그림처럼 운영체제는 메모리에 프로그램 적재, I/O 처리, 파일시스템 처리 등 여러 서.. 2024. 2. 5. 커널 오브젝트(Kernel Object)에 대해서 커널(kernel)이란 컴퓨터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중심이 되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커널'이라는 용어와 '운영체제'라는 용어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굳이 운영체제에서 커널이 차지하는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다. 커널 오브젝트 : 커널에서 관리하는 중요한 정보를 담아둔 데이터 블록 파일을 실제 생성하고 관리하는 주체는 운영체제이다. 운영체제는 관리를 위해 '접근 정보, 어디까지 읽었는지에 대한 정보'등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담아둔 블록이 바로 커널 오브젝트다. 리소스를 생성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커널 오브젝트가 생성된다. 각 커널 오브젝트는 리소스의 특성에 따라 가지는 정보가 다름 커널 오브젝트(Kernel Object)의 이해 프로세스를 생성하고(프.. 2024. 1. 24. 스레드(Thread)란 스레드(Thread)란?오늘날의 운영체제들은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작업의 유연성을 얻기 위해 멀티스레드를 지원한다.스레드의 정의프로세스가 생성되면 CPU 스케줄러는 프로세스가 해야 할 일을 CPU에 전달하고, 실제 작업은 CPU가 수행한다. 이때 CPU 스케줄러가 CPU에 전달하는 일 하나가 스레드이다. 그러므로 CPU가 처리하는 작업 단위는 프로세스로부터 전달받은 스레드인 것이다. 운영체제의 입장에서 작업 단위는 프로세스이고, CPU입장에서의 작업 단위는 스레드인 것이다.따라서 프로세스 입장에서는 스레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스레드 : 프로세스의 코드에 정의된 절차에 따라 CPU에 작업 요청을 하는 실행 단위.작업(job)의 크기크기 순서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Thread(ope.. 2023. 7.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