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53 티스토리에 셸 스크립트 코드 테마 적용하기 티스토리에 셸 스크립트(Shell Script) 코드 테마 적용하기프로그래밍 관련해서 검색하다 보면 셸 스크립트를 검은색 화면에 예쁘게 출력하는 사이트들을 발견하곤 한다. 볼 때마다 가독성이 뛰어나고 예쁘다고 생각했는데 티스토리에서는 어떻게 적용하는지 몰라서 부러워만 했다.그러던 와중에 검색하다보니 HTML 코드를 작성하면 티스토리에서도 셸 스크립트를 예쁘게 작성 가능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제 같이 한번 적용해 보자.HTML/CSS 편집에서 Prism.js 설정하기HTML/CSS 편집에서 아래 HTML코드를 태그를 찾아서 그 위에다가 복사& 붙여 넣기 해주자.HTML 블럭으로 추가하기코드블럭을 추가하고 해당 코드블럭의 HTML을 수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해당 방법으로 해보니 번거롭다. HTML 블럭을.. 2025. 2. 14.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f df 명령어df(Disk Free)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f는 각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사용 중인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사용률을 표시한다.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공간이 부족한 파일 시스템을 식별할 때 유용하다. df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df [option] [file]📌df 명령어의 주요 옵션-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0 블록의 파일 시스템도 포함한다.-T :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표시한다.-i : 아이노드 정보(사용 가능한 아이노드 수와 사용률)를 표시한다.--total : 총합계를 표시한다.파일 부분을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파일 시스.. 2025. 2. 13.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wc wc 명령어wc(Word Count)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의 줄 수, 단어 수, 바이트 수 등을 계산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분석할 때나 파일의 크기를 빠르게 파악할 때 유용하다. 스크립트나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의 양을 측정하는데도 자주 사용된다. wc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wc [option] [file]wc도 grep과 마찬가지로 파일을 입력하지 않으면 표준 입력에서 데이터를 읽어 동작한다. 다음 두 명령은 결과가 동일하다.wc filenamecat filename | wcwc 명령어의 주요 옵션-l : 줄 수를 출력-w : 단어 수를 출력-c : 바이트 수를 출력-m : 문자 수를 출력-L : 가장 긴 줄의 길이를 출력텍스트 정보 출력하기wc를 옵션 없이 사용하면 줄 수, 단.. 2025. 2. 13.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에 대해서 이스케이프 문자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는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자로,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가 아니라 문자 출력을 제어하는 문자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나 셸에서는 백슬래시(\) 또는 퍼센트 기호(%), 달러 기호($) 등을 이용해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표현한다.📌주요 이스케이프 문자 정리\n : 줄바꿈(Line Feed)\r : 캐리지 리턴(Carrage Return)\b : 백스페이스(Backspace)\t : 탭(Tab)\v : 수직 탭(Vertical Tab)\f : 폼 피드(Form Feed)\\ : 백슬래시(\) 자체\' : 작은 따옴표(Single Quote)\" : 큰 따옴표(Double Quote)줄 바꿈 문자 Line Feed(LF) : \nstatic v.. 2025. 2. 12.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stat stat 명령어stat 명령어는 파일이나 파일 시스템의 상세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파일 크기, 디스크 사용량, 권한, 최근 접근 및 수정 날짜, 아이노드 번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가 파일 속성을 파악하기 쉽다. stat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stat [option] [file]stat 명령어의 주요 옵션-f : 파일이 아닌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한다.-c [user_define_format] : 출력 형식을 사용자 정의 형식으로 지정한다.%n : 파일 이름%s : 파일 크기%a : 파일 권한(8진수 표시)%A : 파일 권한(rwxrwxrwx 형태)%h : 하드링크 개수%i : 아이노드 멤버%U : 소.. 2025. 2. 12.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find find 명령어find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검색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grep이 파일의 내용을 검색하는 반면, find는 파일이나 디렉터리 자체를 검색한다. 다양한 기준과 조건으로 파일 시스템을 탐색할 수 있고, 검색한 파일에 대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ind는 파일 이름, 파일 유형, 파일 크기, 수정 시간, 권한 등 다양한 속성으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어떤 파일을 찾는 일은 자주 발생하므로 옵션과 사용법을 익히면 좋다. find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find [option] [path] [expression]find 명령어의 주요 옵션-L : 심볼릭 링크의 대상 파일을 쫓는다. 즉, 파일을 다루거나 정보를 출력할 때 심볼릭 링크의 대상 파일에 대해 작업.. 2025. 2. 11. 이전 1 ··· 3 4 5 6 7 8 9 ··· 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