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529

Bash 프로그래밍 - 조건문과 테스트 연산자 Bash에서 변수 선언하기변수(variable)란 데이터를 담는 그릇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변수에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명령하면 해당 변수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는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변수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보통 값이라고 한다. Bash에서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등호(=)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변수의 이름을 적고, 오른쪽에는 저장할 값을 적는다. 등호의 좌우에는 공백이 없어야 한다.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한다고 한다.변수_이름=값">변수_이름=값NEW_VARIABLE이라는 변수에 hello라는 문자를 저장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값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감싸도 되고, 감싸지 않아도 된다. 큰따옴표로 감싸는 것이 일반적이다.. 2025. 3. 16.
JSON 점 표기법(Dot Notation)에 대해서 JSON 점 표기법(JSON Dot Notation)JSON 형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때 JSON 점 표기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점 표기법은 JSON 구조에서 특정 필드(속성)에 접근할 때 parent.child 형식으로 중첩된 JSON 객체의 속성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해당 방식으로 JSON의 값들을 표현하고, 특정 값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기본 JSON 예제{ "user": { "id": 123, "name": "Alice", "address": { "city": "New York", "zip": "10001" } }, "action": "Login"}">{.. 2025. 3. 6.
EF Core에서 Find() vs Local.Where() 차이점 Find() vs Local.Where()EF Core에서 DbContext.Set()를 사용해서 데이터에 접근할 때 Find()와 Local.Where()의 차이에 대해서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알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의 경우 SaveChanges() 메서드를 호출하기 전에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 Find()와 Local을 이용할 텐데 이때 두 방법의 차이를 알아두면 코드 작성 시에 도움이 된다.Find() 메서드Find()는 기본 키(Primary Key)를 기준으로 엔티티(Entity)를 검색한다.먼저 DbContext의 변경 추적(Tracking)된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 후, 없으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한다.기본 키로만 검색이 가능하며, 다른 컬럼 조건.. 2025. 3. 5.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read read 명령어read는 Bash의 내장 명령어(build-in command)로, 표준 입력에서 한 줄을 읽어 변수에 저장하는 데 사용한다. read는 스크립트에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처리할 때 자주 사용한다. 또한, 파일에서 내용을 읽어 처리할 때도 사용한다. read는 입력된 데이터를 공백으로 구분해 여러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read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read [option] [variable]">read [option] [variable]📌 read 명령어의 주요 옵션-p : 입력 시 보이는 프롬프트 메시지를 지정-t [second] : 입력 제한 시간(초 단위)을 설정-s : 사용자 입력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 (예시 : 비밀번호 입력 시)-r : 백슬래시를 이스케이프 문자로 해.. 2025. 3. 4.
C# 컴퓨터가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문자 인코딩 string에서 byte[]로 변환하기string 타입에서 ToCharArray() 함수를 통해서 바로 Char배열로 변환하는 함수는 존재하지만 ToByteArray() 함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byte[]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결정해야 할 사항들이 있기 때문이다. 변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자 인코딩을 설정해야 한다. 왜냐면 인코딩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결괏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문자 집합(Character Set, Charset)문자 집합은 문자들의 모음이다. 즉, 어떤 문자들이 포함될지를 정의한 목록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A-Z), 숫자(0-9), 특수 기호(!, @, # 등) 등을 포함하는 문자 집합이 있을 수 있고, 한글이나 일본어, .. 2025. 2. 20.
API 호출을 위해 포스트맨을 사용해보자 포스트맨이란?API를 테스트할 때 브라우저 없이 직접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개발자가 API를 쉽게 디버깅하고 문서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명한 필수 도구이다.포스트맨 가입하고 다운로드하기포스트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직접 포스트맨에 가입하는 방법도 있지만 기존에 가지고 있는 구글 계정으로도 손쉽게 가입이 가능하다. 자신에게 편한 방법으로 가입하도록 하자. Download Postman | Get Started for FreeTry Postman for free! Join 35 million developers who rely on Postman,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API development. Create bette.. 2025.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