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529

리눅스(Linux) 패키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패키지 관리 시스템(PMS, Package Management System)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패키지 관리 시스템(PMS, Package Management System)은 패키지의 설치, 업데이트 구성, 제거를 자동화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패키지와 패키지 관리 시스템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관리하는 대상인 '패키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패키지(package)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관련 파일들을 포함한 묶음을 의미한다. 패키지는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구성,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정보는 담고 있다. 패키지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실행 파일 :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파일라이브러리 파일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문.. 2025. 2. 17.
PostgreSQL CRUD 문법 정리 PostgreSQL CRUD 문법CRUD(Create, Read, Update, Delete)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조작을 의미한다.PostgreSQL에서 CRUD를 수행하는 SQL문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자.테이블 생성CREATE TABLE 다음에 생성하려는 테이블의 테이블명을 입력한다. 그리고 생성하려는 컬럼명과 컬럼의 타입을 지정해 준다.CREATE TABLE users ( id SERIAL PRIMARY KEY, -- 자동 증가하는 ID name VARCHAR(100) NOT NULL, -- 사용자 이름 email VARCHAR(255) UNIQUE NOT NULL, -- 이메일 (고유값) age INT CHECK (age > 0), -- 나이는 0보다 커야 함 .. 2025. 2. 17.
리눅스에서 압축을 해보자! 필수 커맨드라인 tar 명령어 tar 명령어tar(Tape Archive) 명령어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아카이브하고 압축하는 데 사용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tar는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를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묶거나 아카이브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한다. 다양한 압축 옵션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백업할 때 매우 유용하다. 특히 소스코드를 .tar.gz 등 압축 파일 형태로 공개하는 경우가 많아 반드시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아카이브(Archive)는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르 한 덩어리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압축이 아니라 단순히 파일을 붙였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에 gzip, uzip2, xz와 같은 압축을 적용하면 흔히 말하는 압축 파일이 된다.tar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tar [optio.. 2025. 2. 14.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u du 명령어du(Disk Usage)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차지하는 디스크 사용량을 추정해 화면에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u는 파일 시스템을 탐색해 각 파일 및 디렉터리의 공간 사용량을 출력한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식별하는데 유용하다. du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du [option] [file]">du [option] [file]📌 du 명령어의 주요 옵션-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s : 지정한 디렉터리의 총사용량만 표시한다.-a : 디렉터리 내에 모든 파일의 사용량을 표시한다.--max-depth=[level] : 지정한 깊이(레벨)까지 디렉터리 사용량을 표시한다.-c : 각 디렉터리의 사용량과 함께 총합계를 표.. 2025. 2. 14.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df df 명령어df(Disk Free)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df는 각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사용 중인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사용률을 표시한다.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공간이 부족한 파일 시스템을 식별할 때 유용하다. df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df [option] [file]📌df 명령어의 주요 옵션-h : 용량을 읽기 쉬운 형태(KB, MB, GB 등)로 표시한다.-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0 블록의 파일 시스템도 포함한다.-T :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표시한다.-i : 아이노드 정보(사용 가능한 아이노드 수와 사용률)를 표시한다.--total : 총합계를 표시한다.파일 부분을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파일 시스.. 2025. 2. 13.
리눅스 필수 커맨드라인 툴 wc wc 명령어wc(Word Count)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의 줄 수, 단어 수, 바이트 수 등을 계산하는 커맨드라인 툴이다.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분석할 때나 파일의 크기를 빠르게 파악할 때 유용하다. 스크립트나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의 양을 측정하는데도 자주 사용된다. wc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wc [option] [file]wc도 grep과 마찬가지로 파일을 입력하지 않으면 표준 입력에서 데이터를 읽어 동작한다. 다음 두 명령은 결과가 동일하다.wc filenamecat filename | wcwc 명령어의 주요 옵션-l : 줄 수를 출력-w : 단어 수를 출력-c : 바이트 수를 출력-m : 문자 수를 출력-L : 가장 긴 줄의 길이를 출력텍스트 정보 출력하기wc를 옵션 없이 사용하면 줄 수, 단.. 2025.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