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분투17

리눅스(Linux) 프로세스(Process) 생성 및 종료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모든 프로세스는 그 프로세스를 생성한 다른 프로세스가 있다. 프로세스를 생성한 프로세스를 부모 프로세스(parent process), 부모 프로세스가 생성한 프로세스를 자식 프로세스(child process)라고 한다. 물론, 자식 프로세스도 프로세스를 만들면 새로 생성한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가 된다.init 프로세스모든 프로세스에 부모 프로세스가 있다면 프로세스의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갔을 때 그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리눅스에는 모든 프로세스의 시조인 init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init 프로세스는 리눅스 커널이 부팅하면서 만들어내는 최초 프로세스이다. 그래서 init 프로스는 부모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init 프로세스의 부모는 리눅스 커널이라고 볼 수 있다.. 2025. 1. 31.
리눅스(Linux) 소유권과 권한 소유권(Ownership)과 권한(Permission)리눅스에서 파일이 생성되면 루트 디렉터리 아래 어딘가에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리눅스는 여러 사용자의 수많은 파일이 루트 디렉터리에서 시작된 하나의 트리 안에 혼재되어 있다. 파일의 위치나 디렉터리 이름 같은 정보로는 파일의 소유자를 판단할 수 없다. 그래서 리눅스의 모든 파일에는 소유권이 설정되어 있다.파일 소유권이란소유권(ownership)은 파일이 사용자의 소유임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파일이 생성되는 순간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user)와 그룹이 소유권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내 파일'도 있지만 '우리 파일'도 있다는 뜻이다. 파일 소유권은 ls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ls -l출력된 내용 중에서 살펴볼 부분은 세 번째와 네 번째 필.. 2025. 1. 28.
리눅스(Linux) 사용자(User)와 사용자 그룹(User Group) 예제 사용자 추가 및 삭제사용자부터 추가하고 삭제해 보자. adduser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adduser [option] [username]사용법은 간단하다. 추가하려는 사용자 이름을 adduser 명령어 뒤에 입력한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지정한다.--shell :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지정한다.--ingroup : 사용자를 지정한 사용자 그룹에 추가한다.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에는 deluser와 userdel이 있는데 여기서는 deluser를 사용하도록 하자.$ deluser [option] [username]--remove-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까지 삭제한다.--remove-all-files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포.. 2025. 1. 28.
리눅스(Linux) 사용자(User)와 사용자 그룹(User Group) 사용자리눅스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로그인할 수 있는 멀티 유저 시스템(multi-user system)이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용자(user)라는 이름의 '계정(account)'을 의미한다. 한 사람이 여러 계정을 소유할 수 있고, 여러 계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사용자의 종류리눅스는 실제 사람이 사용하는 사용자 말고도 여러 사용자를 등록해 시스템을 운용한다. 리눅스의 사용자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root 사용자시스템 사용자일반 사용자root 사용자root 사용자는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권한을 가진 관리자 계정이다. 시스템 내 모든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실행 권한이 있으며, 시스템의 주요 설정 변경, 패키지 관리, 시스템 전원 관리 및 리부팅 등을 실행할 수.. 2025. 1. 27.
셸 스크립트(Shell Script) 디렉터리 생성, 삭제 및 파일 명령어 정리 디렉터리 생성과 삭제(Directoy Create / Remove)디렉터리는 mkdir(make directory) 명령어로 생성한다.$ mkdir [옵션] 디렉터리디렉터리를 삭제할 때는 rmdir 명령어를 사용한다.rmdir [옵션] 디렉터리파일 복사(File Copy)파일을 복사할 때는 cp(copy) 명령어를 사용한다.첫 번째 형식은 파일 하나를 지정한 경로로 복사할 때, 두 번째 형식은 여러 파일을 한 디렉터리로 복시할 때 사용한다.(디렉터리도 복사가 가능한데 이때는 -r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 cp [옵션] 원본 복사본$ cp [옵션] 원본1 원본2 ... 디렉터리파일 이동(File Move)파일 이동에는 mv(move) 명령어를 사용한다.$ mv [옵션] 원본 이동본파일 하나를 지정한 경로.. 2025. 1. 25.
리눅스(Linux) 파일에 확장자가 없는 이유 리눅스는 확장자에 의존하지 않는다이는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설계와 철학이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리눅스는 파일 이름과 파일의 확장자를 특정 용도로 강제하지 않는다. 즉, 파일의 유형이나 용도를 판단하기 위해 확장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리눅스에서는 파일의 유형을 확인할 때 파일 이름(또는 확장자)이 아니라 파일의 메타데이터와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파일 커맨드 file파일의 메타데이터와 내용을 분석하여 파일의 유형을 결정한다.$ file myfile실행 가능한 파일x 권한이 있으면 실행 가능한 파일로 간주한다.$ ls -l myfile파일의 내용 기반 처리리눅스에서는 프로그램이 파일의 내용을 기반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텍스트 파일파일이 .txt 확장자가 없어도 내용이 텍스트 형식이면 텍스.. 2025.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