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네트워크39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에 대해서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이란?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은 IP 네트워크 상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며, 또한 정보를 수정하여 장치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에 사용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다. SNMP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장치에는 라우터, 스위치, 서버, 워크스테이션, 프린터, 모뎀 랙 등이 포함된다. SNMP는 네트워크 모니터링의 목적으로 네트워크 관리에서 널리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는 SNMP의 주요 버전은 세 가지로, SNMPv1이 가장 초기 버전이며 이후 개발된 SNMPv2와 SNMPv3는 성능 및 유연성, 보안성 면에서 향상된 버전이다. SNMP는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에 의해 정의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 2023. 10. 30.
랜선(LAN Cable, Ethernet Cable)에 대해서 랜선(LAN Cable, Ethernet Cable) 원래 전화선 용도로 쓰이다가 현대에서는 주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가장 흔하게는 랜선이라고 불리며 세부 분류인 UTP라는 이름이 익숙하게 알려져 있기도 하다. 랜선의 종류 - 카테고리 CAT, Category 구분법은 간단히 말하면 대역폭(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 1초에 보낼 수 있는 최대 데이터의 크기)으로 UTF Cable을 구분하는 구분법이다. 대역폭에 따라 전송 속도의 차이가 발생해서 같은 시간 동안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많고 적음의 차이로 나타나며 일반 가정에서는 주로 10/100 Mbps의 인터넷 속도를 많이 사용한다. 높은 사양의 케이블은 공장이나 사무실 등의 내부.. 2023. 10. 27.
SSH vs SSL은 어떻게 다른가? SSL(Secure Sockets Layer)이란 무엇인가? 온라인 상태에서 HTTP 대신 HTTPS로 시작하는 웹 주소를 본 적이 있다면 SSL이 작동하는 것을 본 것이다. HTTPS 끝에 있는 "S"는 웹사이트가 귀하(귀하가 웹사이트에 액세스 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방법인 브라우저)와 자체 간의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 보안 계층을 채택했음을 의미한다.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자이며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SSL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웹 주소에 가장 중요한 "S"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은 해당 웹사이트와의 통신이 암호화되어 다른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해 줄 것이다. SSL과 SSL 인증서 획득의 중요성에 대해 자주 듣게.. 2023. 10. 25.
네트워크 토폴로지란? 토폴로지(Topology)란? 일반적으로 외형적인 연결 모양을 의미하는 용어 통신에서의 토폴로지 네트워크의 구성 형태 / 형상 통신 노드의 외형적인 연결모양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물리적 결선 방식 다수의 디바이스가 통신 링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방식 / 형태 / 모양을 의미 수학에서의 토폴로지 (이때는, 위상(Phase)이라고 칭함) 위상이 주어진 공간에서의 집합론적인 연구, 해석학적인 연구등을 하는 분야 적용상의 구분 : 집합론적인 위상수학 대수적 위상수학, 위상해석학 등 토폴로지의 종류 망형 (Mesh Topology)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를 상호 연결 통신선로의 총길이가 가장 긴 네트워크 구조 초기 데이타 통신 네트워크의 전형적인 형태 공중통신망에 많이 사용 트리형 (Tree Topology.. 2023. 10. 25.
와이어샤크(Wireshark) 설치하기 와이어샤크(Wireshark)란? 네트워크상에서 주고받는 메시지 데이터 블록의 기본 단위를 패킷이라고 한다. 이메일을 보내거나,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는 등, 인터넷에 접속해서 우리가 행하는 모든 행위는 사실 패킷의 운송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알지 못하지만 컴퓨터에서는 매초 많게는 수만 개의 패킷 데이터가 들어오고 빠져나가곤 합니다. 실시간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이 짧은 찰나에 발생하는 패킷 교환 과정을 포착하는 여러 가지 도구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오늘 다루게 될 Wireshark이다. Wireshark는 가장 보편적인 무료 오픈소스 네트워크 패킷 분석 프로그램이다. 개별 패킷 내의 프로토콜 정보를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상당히 직관적인 GUI를 제.. 2023. 10. 4.
이더넷(Ethernet)이란 무엇인가? 이더넷(Ethernet)이란? 이더넷은 원칙적으로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유/무선 통신장비 공유기, 허브 등을 통해 다수의 시스템이 랜선 및 통신포트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를 말한다. 인터넷에 가입해서 설치 기사님이 방문해서 설치해준 모뎀에 랜선으로 공유기를 연결하는 보통의 가정집이 구성한 네트워크 구조가 이더넷(Ethernet)이다. Ethernet은 전 세계 학교, 가정, 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네트워크 규격이다. OSI 모델 7 계층 중 물리 계층(신호와 배선)과 데이터 링크 계층(MAC 패킷, 프로토콜 형식)에서 그 구성 형식이 정의된다. Internet은 여러 네트워크를 전세계적으로 연결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말한다. 네트워크는 우리 집에 있는 가정용 네트워크가 있고 학교용,.. 2023.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