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8

리눅스(Linux) 사용자(User)와 사용자 그룹(User Group) 사용자리눅스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로그인할 수 있는 멀티 유저 시스템(multi-user system)이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용자(user)라는 이름의 '계정(account)'을 의미한다. 한 사람이 여러 계정을 소유할 수 있고, 여러 계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사용자의 종류리눅스는 실제 사람이 사용하는 사용자 말고도 여러 사용자를 등록해 시스템을 운용한다. 리눅스의 사용자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root 사용자시스템 사용자일반 사용자root 사용자root 사용자는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권한을 가진 관리자 계정이다. 시스템 내 모든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실행 권한이 있으며, 시스템의 주요 설정 변경, 패키지 관리, 시스템 전원 관리 및 리부팅 등을 실행할 수.. 2025. 1. 27.
Jenkins SubversionSCM.ModuleLocation로 SVN 내려받기 우선 Dockerfile로 Groovy 초기화 스크립트 복사하기Groovy 스크립트를 수정하고 해당 스크립트를 도커 파일로 복사해서 젠킨스 설정 시에 적용되도록 세팅하자. (Groovy 스크립트는 VisualStudio Code를 활용했다.)FROM jenkins/jenkins:ltsUSER root# Groovy 스크립트 복사COPY init.groovy.d/ /usr/share/jenkins/ref/init.groovy.d/USER jenkinsSubversion & Credential 실행 스크립트(Subversion & Credential Setting Scripts)아래는 init.groovy.d를 수정한 내용이다. SubversionSCM.ModuleLocation 객체를 사용하면 SVN주소를.. 2025. 1. 27.
곧 봉준호 감독과 함께 돌아오는 미키7을 읽고서 한줄평도망친 곳에 낙원은 존재하는가?목차1장2장3장4장5장6장7장8장9장10장11장12장13장14장15장16장17장18장19장20장21장22장23장24장25장26장27장감사의 말젠에게, 당신이 '문명'을 그만두게 하지 않았다면 이중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았을 거야.개척지로 향하는 도망자어이없는 이유로 막대한 빚을 지고 도망치듯 개척선에 몸을 실은 미키 반스에게 '구원'이란 있을 수 없다. 평소 누리던 평화로운 일상을 소중히 여기지 않았던 탓이었을까? 도망쳐서 도착한 곳에 낙원이란 있을 수 없다.  불사(?)의 몸을 얻게 된 그의 앞에는 미지의 수많은 위험들과 끝도 없이 반복되는 죽음과 고통만이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나는 과학자가 아니었다. 엔지니어도 아니었다. 예술이나 오락, 글쓰기에도 재능이 없었다.. 2025. 1. 27.
리눅스(Linux) 소프트 링크와 하드 링크 소프트 링크(Soft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에 대해서소프트 링크와 하드 링크는 파일의 일종이다. 링크(link)는 '연결'을 의미한다. 소프트 링크는 유연한 연결, 하드 링크는 견고한 연결 정도로 볼 수 있다. 둘의 다른 점은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우선 소프트 링크와 하드 링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아이노드와 덴트리 개념부터 알아보자.아이노드(inode)와 덴트리(dentry)파일 시스템은 각 파일에 대한 정보를 아이노드(inode, index node)라는 자료구조로 저장한다. 아이노드는 파일의 내용이 아니라 파일의 접근 권한, 마지막 접근 시간, 파일 소유자, 그룹, 크기, 데이터 블록의 위치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data)를 저장한다고 보면 된.. 2025. 1. 26.
셸 스크립트(Shell Script) 디렉터리 생성, 삭제 및 파일 명령어 정리 디렉터리 생성과 삭제(Directoy Create / Remove)디렉터리는 mkdir(make directory) 명령어로 생성한다.$ mkdir [옵션] 디렉터리디렉터리를 삭제할 때는 rmdir 명령어를 사용한다.rmdir [옵션] 디렉터리파일 복사(File Copy)파일을 복사할 때는 cp(copy) 명령어를 사용한다.첫 번째 형식은 파일 하나를 지정한 경로로 복사할 때, 두 번째 형식은 여러 파일을 한 디렉터리로 복시할 때 사용한다.(디렉터리도 복사가 가능한데 이때는 -r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 cp [옵션] 원본 복사본$ cp [옵션] 원본1 원본2 ... 디렉터리파일 이동(File Move)파일 이동에는 mv(move) 명령어를 사용한다.$ mv [옵션] 원본 이동본파일 하나를 지정한 경로.. 2025. 1. 25.
리눅스(Linux) 파일에 확장자가 없는 이유 리눅스는 확장자에 의존하지 않는다이는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설계와 철학이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리눅스는 파일 이름과 파일의 확장자를 특정 용도로 강제하지 않는다. 즉, 파일의 유형이나 용도를 판단하기 위해 확장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리눅스에서는 파일의 유형을 확인할 때 파일 이름(또는 확장자)이 아니라 파일의 메타데이터와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파일 커맨드 file파일의 메타데이터와 내용을 분석하여 파일의 유형을 결정한다.$ file myfile실행 가능한 파일x 권한이 있으면 실행 가능한 파일로 간주한다.$ ls -l myfile파일의 내용 기반 처리리눅스에서는 프로그램이 파일의 내용을 기반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텍스트 파일파일이 .txt 확장자가 없어도 내용이 텍스트 형식이면 텍스.. 2025.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