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수학32 1e+6 이게 뭔데? 과학적 표기법이란 무엇인가? 1e+6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간단하다. 이는 1,000,000을 의미한다. 0이 6개인걸 뜻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Metric Prefixes Online Unit Converter 1E+24 1,000,000,000,000,000,000,000,000 yotta Y online.unitconverterpro.com 과학적 표기법, 지수(e) 표기법 과학적 기수법(scientific notation), 과학적 표기법(scientific form), 지수 표기법(Exponential Notation)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숫자들을 십진법으로 편하게 작성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과학자, 수학자, 공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데, 부분적인 이뉴는 특정한 산술을 단순화시켜 주기 때문이다. 과.. 2023. 12. 29. 로그(log)란 무엇인가? 지수(exponent)란 무엇인가? 위에 표시된 숫자들을 우리는 2의 3승, 혹은 5의 세제곱 등과 같이 읽는다. 요새는 몇 제곱과 같이 표현을 하겠지만, 예전에는 몇 승(升)이라고 표현했다. 몇 승이라는 표현도, 위에 숫자가 알라탄 것과 같은 모습이기에 나름 비슷한 이미지를 주는 것 같긴 하다. 이와 같은 승수, 제곱으로 표현되는 수를 지수(exponent)라고 한다. 지수와 지수의 밑은 아래와 같다. 오른쪽 위의 작은 숫자를 지수(exponent)라고 부르고 지수 밑에 있는 큰 숫자를 밑이라고 부른다. 이 예제에서는 4가 밑(base)이고 3이 지수(exponent)이다. 아래의 수는 밑이 7이고 지수가 5인 수이다. 지수는 밑수를 몇 번 곱해야 하는지 나타내는 수이다. 이 예제에서 4^3은 밑인 4.. 2023. 11. 30. 각의 종류 각(Angle)의 종류 각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직각(Right angle) 직각은 90º를 뜻한다. 직각은 완벽한 모서리로서 직사각형 종이의 모서리와 동일하다. 아래는 직각의 예시이다. 평각(Straight angle) 평각은 180º를 뜻한다. 평각은 직선과 동일하게 생겼다. 예각(Acute angle) 예각은 90º보다 작은 각을 뜻한다. 직각과 비교해보면 예각이 90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둔각(Obtuse angle) 둔각은 90º보다 크고 180º보다 작은 각은 뜻한다. 아래는 둔각의 예시이다. 직각과 비교해보면 둔각이 90º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각과 비교해보면 둔각이 180º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도형 中 '삼각형, 사각형, 원' 관련 표.. 2023. 9. 27. 약수와 배수 약수(Divisor)와 배수(Multiple)는 어떻게 다른가? 다항식 A가 BC = A로 인수분해 될 때, A를 B,C의 배수라고 하고, B,C를 A의 약수라고 한다. 약수(divisor) : 나누어져 나온 요소 배수(multiple) : 곱해져서 나온 결과 공약수(Common divisor)란? 예컨대, 18의 약수는 1, 2, 3, 6, 9, 18이고 54의 약수는 1, 2, 3, 6, 9, 18, 27, 54이다. 이때 18과 54의 공통 약수, 즉 공약수는 1, 2, 3, 6, 9, 18이다. 이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18이 최대 공약수이다. 약분(Reduction, simplifying fractions)이란?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공약수(common divisor)로 나눠서 간단하게 만드는.. 2023. 9. 12. 집합 기호와 명제 기호 간의 상호번역 드모르간 법칙에 의한 상반개념 집합 언어와 명제 언어를 서로 번역해 보자 우리는 전체집합을 설정했을 때 A가 아닌 나머지 구역이라는 뜻에서 A의 여집합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우리는 A와 A의 여집합이 완전히 상반된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까지만 보면 여집합이라는 개념은 집합 한 개에만 적용되는 연산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여집합의 성질을 일반화시킨 것이 바로 드모르간 법칙이다. 즉, 집합의 연산에서도 상반개념들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드모르간 법칙을 이용하면 어떻게 되느냐. A의 상반개념은 A의 여집합 합집합의 상반개념은 교집합 전제집합의 상반개념은 공집합 이런 식으로 집합에서 상반개념을 확립할 수 있게 된다. 단, 집합의 연산 중 차집합은 항상 저렇게 형태를 바꿔서 .. 2023. 9. 8. 논리적 추론에 들어가기 앞서 논리적 추론 용어 공리(Axiom) 공리는 증명없이 참으로 받아드리는 명제를 의미한다. 페아노 공리계의 1은 자연수이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두 점이 주어졌을 때,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이 있다.' 라고 하는 명제들은 증명할 수 없기에 공리라고 부리고 있다. 정의(Definition) 정의와 공리는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것이다. 대체로 정의는 용어에 대한 약속을 정의로 묶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세 변으로 만들어진 도형을 삼각형이라고 하거나, 삼각형 중 한 내각의 크기가 90도인 삼각형을 직각삼각형이라고 부른다. 언제나 참인 것이 특징이다. 정리(Theorem) 증명을 통해 참인 것으로 밝혀진 것을 의미한다. 증명이 있지 않다면 이는 추측(Conjecture)라고 부르고 있다. 대표적인 정리는 우리가 .. 2023. 9. 7. 이전 1 2 3 4 5 6 다음